.
내과질환센터
Home   >   내과질환센터   >   골다공증
만성질환 소화기질환 호흡기질환 심장질환 갑상선질환 골다공증

SEOUL SAMSUNG INTERNAL MEDICINE

골다공증

고객을 최우선으로 하는 내과

골다공증이란?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쉽게 골절되는 골격계 질환으로 뼈의 강도는 뼈의 양과 질에 의해 결정됩니다. 1년마다 10%의 뼈가 교체되며 20대에서 30대의 골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그 이후로는 조금씩 감소하며 여성의 경우에는 폐경 첫 5년간 급속도로 골밀도가 약해집니다.

골다공증 자체만으로는 거의 증상이 없으며 손목, 척추 등의 골절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다공증 원인

  • 1
    칼슘의 흡수 장애
    섭취 부족
  • 2
    비타민D 결핍
  • 3
    폐경
  • 4
    가족력
  • 5
    운동 부족

골다공증 진단기준

/_files/5Rufna3eI.jpg
  • 1

    골다공증의 검사결과는 숫자로 나타나게 되며, 이를 T-Score 라고 부릅니다.

  • 2

    정상치를 0으로 보았을 때, 검사수치가 양(+)으로 커질 경우 골밀도가 높은 것이며,

  • 3

    음(-)으로 커질 수록 골밀도가 낮다고 판단합니다.

  • 4

    수치에 따라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으로 나누며 보통 골다공증은 -2.5이하를 기준으로 진단합니다.

골다공증 예방 수칙

  • 빨리걷기, 조깅, 테니스 등 근육과 뼈에 힘을 주는 운동(체중부하운동)이 좋습니다.
  • 충분한 칼슘을 섭취해야 칼슘 부족에 의한 골다공증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호르몬 사용이 가능한 폐경 후 여성에게 골다공증 예방을 위하여 권장됩니다.
  • 햇빛을 쬐면 비타민 D가 생산되나 필요에 따라 비타민 D를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 금연과 금주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짠 음식을 피하여 염분과 함께 칼슘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합니다.